목록의학 질문 (21)
미국에서 병원 가기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병원에서 혈액검사, CT, 대장암등의 검사가 정상으로 나왔는데도 정확한 원인을 찾을 수 없으나, 본인은 계속해서 배가 더부룩하고 불편하며 때로는 생활에 불편을 느낄 정도의 복통과 설사/변비를 동반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심리적 스트레스, 유전등 여러가지 이유들로 대장 근육이 정상보다 더 많이 활동을 하거나 더 느리게 활동을 할때 생기는 증후군입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증상 대표적으로 복통을 동반한 설사와 복통을 동반한 변비로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는 어떤 음식을 피해야 할까요? 개인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Incompletely absorbed carbohydrates: 완전하게 소장에서 영양분이 흡수되지 않고 대장에서는 박테리아에 의해 일부 발효..

오늘은 급성 허리 통증 두번째 허리 디스크에 관한 내용을 포스팅 해 보겠습니다. 허리 디스크란 무엇 인가요? 디스크가 뭔지 알려면 허리의 구조 먼저 살펴 봐야 합니다. 척추 (vertebrae): 허리에 일렬로 위치한 허리뼈를 말합니다. 척추 위에 척추 이런식으로 서로 동전이 쌓아 올라간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에 구멍이 있습니다. 이 구멍은 가운데에 위치한 신경조직을 보호하는 관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척수와 신경조직 (Spinal cord and nerves): 척수는 머리부터 온몸을 관통하며 척추의 가운데 구멍을 통해 흐르고 있습니다. 척수는 신경조직의 하이웨이같은 역할을 하며 척추를 지나 팔, 다리, 장기등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면 허리만 아픈 것이 아니고 다리가 아프기도 하..

오늘은 인생을 살면서 약 80%이상의 사람들 경험하는 Acute Back Pain (급성 허리 통증: 허리 통증이 발생한후 4주가 지나지 않은 상태)중에서도 근육 염좌에 관한 포스팅을 준비 했습니다. 허리 통증 환자중 1퍼센트도 안되는 비율이 심각한 이유의 허리 통증 (종양, 감염등)이고 10퍼센트도 안되는 비율이 특정한 원인(골절, 협착증, 디스크)으로 인한 허리 통증이므로, 85%이상의 급성 허리 통증 환자는 심각하지 않은 근육 염좌 (Lumbar muscular strain/sprain) 로 인한 허리 통증입니다. 근육 염좌 (Lumbar muscular strain/sprain)란 무엇인가? 근육이 외부의 충격으로 손상 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통증을 유발 하는 것이 근육 염좌 입니다. 특별한 ..
오늘은 코비스가 잠잠해져 감에 따라 한국으로의 여행을 계획하고 계시거나 조금 먼 곳으로 여행을 계획하고 계시는 분이 알고 계셔야 할 혈전 방지에 관한 포스팅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긴 비행은 물론이고 4시간 이상의 자동차나 버스 여행 또한 혈전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여행하는 시간이 길어 질수록 이러한 위험성을 높아집니다. 혈전은 무엇인가요? 혈전은 혈관안에서 피가 굳어진 상태로 이러한 혈전은 혈관을 막을 수 있고, 혈관을 타고 올라가면 심근 경색증, 뇌졸증, 폐혈전증등의 심각한 문제를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전이 생기기 쉬운 사람은? 최근에 수술을 받은 사람이나 사고를 당한 사람 암환자 임산부 에스트로겐 복용자 피임약 복용자 노인 비만 혈전 증상은? 다리가 붓고 아픕니다. 부종의 경우 양쪽 다리가..
오늘은 Urgent care 얼전케어와 ER 응급실의 차이점과 언제 응급실로 혹은 얼전케어로 가야 하는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언제 Emergecy care에 가야 할지에 관한 이야기는 이전포스팅에서도 다룬 적이 있으니 복습하실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Urgent Care 얼전케어 vs Primary Care 주치의 Urgent 얼전케어는 Primary care 주치의 오피스에서 예약을 잡는 것이 불가능 하거나, 문을 닫았거나, 환자가 여행중이라 주치의 방문이 어렵거나, 환자의 현재 위치가 주치의 오피스에서 너무 멀리 있을 때, 급하게 메디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 얼전케어에서 제공하는 메디컬 케어는 주치의 오피스에서도 제공할 수 있으며, Primary ca..

이전 포스팅에서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변비약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약국에서 쓰는 변비약으로도 쉽게 해결되지 않는 심한 변비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고, 병원에 가면 어떤 처방약을 주로 주는지 또한 내가 처방받은 약이 어떤 약인지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변비 진단 변을 볼때 딱딱하고 배가 아픈 경우 변을 본 후에도 잔변감이 남아 불편한 경우 변을 보는 횟수가 평소보다 줄어든 경우 2. 원인 파악 무엇때문에 갑자기 변비가 생겼는지 원인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 변비를 유발하는 약을 먹고 있지 않는 지 확인합니다. 캴슘제, 텀즈, 마약성(아편유사)진통제, 항콜린제, 철분제, TCA항우울제, 이뇨제, Zofran, NSAIDs, 지사제등이 변비를 유발하는 약..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성분들이 병원에 찾는 가장 많은 이유 중 하나인 방광염에 관한 포스팅을 해 보겠습니다. 방광염은 영어로 Urinary Tract Infection 줄여서 UTI라고 부릅니다. Urinary tract 그러니까 오줌을 만드는 기관(요로, 방광, 요관, 신장)이 박테리아균에 의한 감염이 생긴것을 뜻합니다. 증상 방광염/요로 감염증의 증상으로는 대표적으로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1. Dysuria (디스유리아) 소변을 볼때 따갑고 아픈 증상 2. Urinary frequency (유리너리 프리퀀시) 소변을 자주 보는 현상 3. Urinary urgency (유리너리 얼전시) 소변을 참을 수 없는 증상 이 외에도 하복부 통증, 잔뇨감, 혈뇨, 소변 악취, 허리 통증, 발열, 피로감등이 있습니다..
당뇨약 하면 떠오르는 약 메트포르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https://koreannp.tistory.com/31 만성 신장 질환가지고 있거나 부작용으로 인해 Metformin (메트포르민)을 사용할 수 없거나 메트포르민만으로는 혈당 조절이 불가능한 환자는 무슨 약을 써야 할까요? 여러가지 선택 옵션이 가능 하지만 오늘은 최근 몇년간 좋은 연구 결과로 인해 많이 쓰게된 GLP 1 수용체작용제에 대한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GLP1 수용체작용제에 대한 간단 요약 -당뇨뿐 아니라 심혈관 질환 예방에도 큰 효과가 있음 -하루 한번 혹은 일주일에 한번 주사로 맞는 방법과 알약으로 복용하는 방법이 있어서 선택가능 -비만/몸무게를 줄이는데 큰 효과가 있음 -설사나 복통등 위장계에 ..